Cloud01
Cloud01
Cloud Service 정의
- 클라우드 사업자가 확보한 서버 / 스토리지 / 네트워크 / 애플리케이션 / DB 등등 모든 서비스 자원들을 인터넷 망을 통해 월 임대 방식으로 빌려쓰는 서비스
Cloud Service 장점
- 즉시성
- 확장성
- Auto-Scaling : 서버를 늘어나고 줄어들게 도와주는 기능
- Scale-out : 서버의 대수가 늘어나는 것
- Scale-in : 서버의 대수가 줄어드는 것
- Scale-UP : 서버의 성능을 높이는 것
- Scale-DOWN : 서버의 성능을 낮추는 것
- Auto-Scaling : 서버를 늘어나고 줄어들게 도와주는 기능
- 유연한 인프라 관리
- HW 온프레미스 구축 방식
- 온프레미스 : 장비를 구매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방식
-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다.
- HW 온프레미스 구축 방식
- 손쉬운 글로벌 서비스
- 강력한 보안(SLA(Service Level Agreement))
- 글라우드 사업자가 최신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호 보완용 데이터센터와 강력한 방화벽 등 최신 하드웨어 보안 기술을 자사의 서비스에 도입
- 주요 클라우드 사업자는 99.98%의 가용성을 보장
Cloud Service 단점
- 비싸다. 서비스의 성질에 따라 온프레미스가 더 쌀 때도 있다.
- 빠른 개발 속도. 솔루션 아키텍쳐 - 고객들에게 맞는 클라우드 서비스 설립들 도와주는 직종(메가존)
- 보안의 불안함 - hybrid cloud로 대체 가능
퀴즈
Q. 국내외 클라우드 사업자 7개
A. aws, gcp, azure, naver cloud, kt cloud, nhn cloud, oracle
Q. 서버 자원을 유연하게 확장 및 축소 도와주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능은?
A. Auto-Scaling
Q. 클라우드 사업자에게 고객이 기대하는 서비스 수준에 대한 합의서란?
A. SLA(Service Level Agreement)
Cloud Service의 등장 배경
- 데이터 폭증으로 앞당겨진 디지털 수요
-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금융소비자 개인의 금융정보(신용정보)를 통합 및 관리하여 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 금융권에서 클라우드로 많이 변화하고 있다.
- 4차산업 기술들이 금융권에서 어떻게 활용이 될 것 같습니까?
- 쇼핑DATA
- 의료DATA
클라우드 종류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Cloud Service Provider)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다수의 물리 서버를 가상화해 제공하며, 네트워크, 스토리지, 전력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모든 것을 CSP가 책임지고 관리
- SaaS(Software as a Service) : 고객에게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하는 것
- PaaS(Platform as a Service) : 개발 환경, API 제공 서비스들
글로벌 클라우드 회사와 국내 클래우드 회사의 차이점
- 국내가 기술 지원이 좀 더 잘 된다. 국내가 조금 더 저렴함.
- 글로벌 벤더는 기술력이 좀 더 좋다.
- 멀티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
- 클라우드 개발사가 모든 서비스를 개발할 수 없으니 서드파티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산업별 클라우드 이용 현황
- education
- 코로나19 확산방지대책으로 사상 초유 비대면 온라인 개학추진
- 기존학습보조시스템 4~5만명 동시 수용
- 90만명 동시 접속 지원
- Finance & Health
- 마이데이터
- 금융권 핵심 업무 시스템 클라우드로 전환
- 클라우드 기반 고품질 의료데이터 수집 인프라 마련
- Game
- 고성능과 빠른 응답속도를 요구하는 게임에 최적 형태
- E-commerce
- Startups
- 서비스의 이전이 쉽지 않기 때문에 초기에 쓰던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려는 경향때문에 스타트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한다.
- 제조 & 건설
- 가장 느리게 도입중
Q. 데이터의 주권은 나에게 있다는 의미의 금융권에서 적극 추진중인 사업명은?
A. 마이데이터
Q. 네이버 클라우드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은?
A. Greenhouse
Q. Cloud Service의 종류?
A. IaaS, PaaS, SaaS
Hybrid vs Multi Cloud
Hybrid Cloud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 혹은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병행 사용하는 형태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온프레미스의 장점을 결합
- 인프라 구축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중/소규모 기업 또는 신규 출시한 서비스처럼 예측이 어려운 워크로드를 운영할 때 주로 이용
-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기업에서 직접 관리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또는 외부 데이터 센터에서도 사설망으로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
- 기업 특성에 맞기 운영할 수 있고 보안에 뛰어나다는 장점
- 고연산이 필요한 머신 러닝 서비스는 온프레미스로 쓰고 고연산이 필요하지 않는 서비스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
Multi Cloud
- 멀티 클라우드는 서로 다른 업체에서 2개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해 하나의 서비스를 운영
- 업체 종속성(Lock-in)을 피하고, 특정 업체의 클라우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서비스에 타격을 주지 않기 위함
- 클라우드 시장의 독보적 점유율을 보유한 AWS를 견제하는 기타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들은 한 업체에 종속되는 것은 위험하다고 지적
- 한 번 도입하면 바꾸기 어려운 DB와 OS 분야에서는 독점 기업들의 횡포가 종종 발생
CSP & MSP
CSP(Cloud Service Provider)
- Domestic : Naver Cloud / KT Cloud / NHN Cloud / Kakao iCloud / 가비아
- Abroad : AWS(Amazon Web Service) / Microsoft Azure / Google Cloud Platform / Ali Cloud / Tencent Cloud
- 특정 제품을 연속적으로 공부하고 배울 수 있다.
MSP(Managed Service Provider)
- 메가존 / 베스핀글로벌 / GS네오텍 / 으뜸정보기술 / 디딤 365 / 클루커스
- 대기업 SI회사(삼성 SDS / LG CNS / SK C&C / 한화 시스템)
- 신입 채용이 많음. MSP에서 경력 쌓고 CSP로 이직
- 모든 클라우드를 전반적으로 다뤄볼 수 있고 전문가가 될 수 있다.
- MSP가 고객들의 클라우드의 컨설팅부터 도입, 관리 등 기업의 클라우드 전반을 책임진다.
퀴즈
Q. 퍼블릭과 프라이빗/온프레미스를 결합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 개념은?
A. Hybrid Cloud
Q. CSP사들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컨설팅 및 운영해주는 회사들을 일컫는 명칭은?
A. MSP(Managed Service Provider)